충주 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주 지씨는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귀화한 지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충주를 본관으로 하며, 11개 파로 나뉘어지고, 특히 17세손 지용기를 파조로 하는 충의군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고려 시대에는 지자심, 조선 시대에는 지윤, 지용수, 지용기, 지정, 지석영, 지청천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정종의 후궁인 성빈 지씨와 숙의 지씨, 태조의 장남 진안대군의 부인이 충주 지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148,144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주 지씨 - 지상욱
지상욱은 연세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 도쿄 대학에서 토목공학 및 건축공학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세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자유선진당 대변인으로 정계에 입문, 제20대 국회의원,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수석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충주 지씨 - 지영서
지영서는 동양방송 아나운서로 시작해 KBS 아나운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 한라대학교 조교수 및 KBS 한민족방송 진행자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언론학자이다.
충주 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충주 |
관련 인물 | 지소연 지창욱 지일주 지진희 지석진 지민혁 지승현 (배우) 지하윤 |
웹사이트 | 충주 지씨 대종회 웹사이트 |
역사 | |
본관 | 충주시 |
인구 | |
2015년 인구 | 148,144명 |
2. 역사
《충주지씨족보(忠州池氏族譜)》에 따르면, 시조 '''지경(池鏡)'''은 송(宋) 홍농(弘農) 사람으로 960년(고려 광종 11) 태학사(太學士)로서 봉사관(奉使官)이 되어 고려에 사신으로 왔다가 정착하였다. 벼슬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태보평장사(太保平章事)에 이르렀다고 한다.[6] 시조 지경의 묘는 평안도 중화군 당악산 화산정에 있다.
2. 1. 고려 시대
2세 지해관(池海貫)은 찬성사, 3세 지영(池瀛)은 부원수, 4세 지득상(池得尙)은 평장사를 지냈다. 6세 지종해(池宗海)가 1071년(문종 25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로 충원백(忠原伯)에 봉해지면서 충주(忠州)를 본관으로 하였다. 10세 지자심(池資深)은 고려 신종 때 경상도 안찰사(按察使)를 지냈다.[7] 지윤보(池允輔, ? ~ 1295년)는 권문세가인 경원 이씨 이덕손(李德孫)과 사돈을 맺었다. 1282년 대장군으로서 2등공신이 되어 전민(田民)을 하사받고,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에 이르렀다.2. 2. 조선 시대
고려 공민왕 때 지윤(池奫)은 판숭경부사(判崇敬府事)를 지내고, 우왕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가 되어 재상에 올랐다.[8] 지윤의 딸은 조선 태조의 장남 진안대군(鎭安大君)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충주 지씨이고, 성빈 지씨와 숙의 지씨는 정종의 후궁이다.1365년(공민왕 14년) 지용수(池龍壽)는 상원수(上元帥)를 거쳐 1366년 첨의평리(僉議評理)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역임하였으며, 서북면상원수 겸 평양윤(平壤尹)이 되었다.[9]
지용기(池湧奇)는 공민왕 때 삼사우윤을 지내고, 우왕 때 예의판서를 거쳐 문하평리(門下評理)로서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1389년(공양왕 1)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올랐다.[10]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지용기의 아들 지유용(池有容)은 조선 세종 때 판의주목사(判義州牧使)를 역임하였다.
지용기의 동생 지용도(池龍圖)의 6세손 지정(池淨)은 단종 때 정분(鄭苯)의 생질로서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 일파에 의해 교살되고,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성종 때 현감(縣監) 지준(池浚)은 윤필상의 사위가 되었고, 그의 현손인 지여해(池汝海)는 병조참판, 지덕해(池德海)는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지용기의 10세손인 지계최(池繼崔)는 인조 때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진무공신에 책록됐다.
3. 기원
《황명만성통보(皇明萬姓統譜)》와 《운부군옥(韻府群玉)》에는 '지씨(池氏)는 서하(하북성)에서 나서 거주지의 이름으로 성(姓)을 삼으니 치음(徵音)에 속한다.'라고 하였다.
《성씨비고(姓氏備考)》에는 '서하(西河)는 경치 좋은 곳으로 계속하여 물이 맑게 흐르는데 진(秦)과 송(宋)나라에서 으뜸인 고장으로 지자화(池子華)는 진(秦)나라 승상(丞相)이었고, 지몽리(池夢鯉)는 송(宋)나라 함순(咸淳: 南宋, 1265~1274) 연간에 특별 과거에 장원 급제(壯元及第)하였으며, 한(漢)나라 지원(池瑗)은 중모령(中牟令)으로 현인(賢人)으로 이름이 났고, 송(宋)나라 지광정(池光庭)은 진사(進士)로 문학(文學)으로써 이름을 떨쳤는바 모두 장계(長溪)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4. 분파
충주 지씨는 크게 11개 파로 분파된다. 17세손 지용기를 파조로 하는 충의군파(忠義君派)가 충주 지씨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파명 | 파조 |
---|---|
충의군파(忠義君派) | 17세 지용기 |
판관공파(判官公派) | 15세 지윤 |
주서공파(注書公派) | 15세 지정 |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 | 17세 지용하 |
판형공파(判形公派) | 17세 지천봉 |
주서명천공파(注書明川公派) | 17세 지을현 |
봉사영흥공파(奉事靈興公派) | 17세 지을생 |
낭장공파(左營公派) | 12세 지일삼 |
충주 어씨 시조 어중익(魚重翼)은 충주 지씨 6세손이다.[11]
5. 주요 인물
- 지자심(池資深, 1149년 ~ ?) : 고려 명종 때 낭장(郎將)을 지냈고, 신종 때 경상도 안찰사, 호부시랑, 평장사를 지냈다. 외손자는 채송년이다.
- 지윤보(池允輔, ? ~ 1295년) : 경원 이씨 이덕손(李德孫)과 사돈을 맺었다. 1282년 대장군으로서 2등공신이 되어 전민(田民)을 하사받고,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에 이르렀다.[12]
- 지윤(池奫, ? ∼ 1377년) : 15세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장남 진안대군의 장인이며, 조선 제2대 왕 정종의 후궁인 성빈 지씨, 숙의 지씨의 아버지이다.
- 지용수(池龍壽, 1313년 ~ ?) : 16세손. 외손자는 조선 세종 때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이다.
- 지용기(池湧奇, 1330년 ~ 1392년) : 17세손. 위화도 회군에 참여했다.
- 지유용(池有容, 1363년 ~ 1437년) : 18세손. 지용기의 아들.
- 지호(池浩, 1396년 ~ 1447년) : 지유용의 차남. 한성 소윤, 원종공신.
- 지정(池淨, ? ~ 1453년) : 계유정난으로 교살되었으며,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 지계강(池繼江, 1422년 ~ 1460년) : 첨지중추원사, 상호군, 곽산군수, 증 병조참의
- 지준(池浚, 1442년 ~ 1489년) : 윤필상의 사위이다. 딸은 신숙주의 손자인 신광윤과 혼인하였다.
- 지달하(池達河) : 지용기의 6대손.
- 지성해(池成海, 1565년 ~ 1635년) :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였다.[13]
- 지덕해(池德海 , 1583년 ∼ 1641년) : 지준(池浚)의 현손이며, 고조모는 윤필상의 딸이다.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켜 청나라에 항쟁하고자 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낙향, 북벌론을 펼치며 제자를 양성하였다.[14]
- 지여해(池汝海, 1591년 ∼ 1636년) : 지용기의 8대손. 고조모는 윤필상의 딸이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청나라 군사와 싸우다가 순절하였다.[15]
- 지계최(池繼崔, ? ∼ 1636년) :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다.
- 지천석(池天錫, 1620년 ~ ?) : 진사시에 합격하고,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정랑(禮曹正郞)과 승지(承旨)를 역임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다.
- 지광한(池光翰, 1659년 ∼ 1756년) : 지석구(池錫龜)의 손자.
- 지석영(池錫永, 1855년 ~ 1935년) : 31세손. 천연두를 퇴치하였다.
- 지청천(池靑天, 1888년 ~ 1957년) : 32세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인, 정치가. 제헌 국회의원과 초대 무임소장관을 역임하고 제2대 국회의원, 민주국민당 최고위원을 지냈다.
5. 1. 과거 급제자
시대 | 구분 | 성명 |
---|---|---|
고려 | 문과 | 지운립 |
조선 | 문과 | 지달하, 지덕빈, 지덕해, 지봉령, 지붕현, 지석영, 지성해, 지응룡, 지천석, 지흠 |
조선 | 무과 | 지간, 지경성, 지경욱, 지경호, 지계봉, 지관흥, 지광득, 지광한, 지구두쇠, 지귀석, 지기룡, 지기매, 지기연, 지기춘, 지기택, 지끝남, 지달룡, 지대흥, 지덕룡, 지덕린, 지덕립, 지덕순, 지두량, 지득룡, 지득명, 지득징, 지득형, 지만춘, 지명길, 지명일, 지명장, 지방, 지복재, 지봉익, 지봉일, 지삼남, 지성곤, 지성룡, 지성해, 지세, 지수빈, 지순남, 지승길, 지시동, 지악쇠, 지영달, 지영쇠, 지영춘, 지오지, 지용운, 지우규, 지우기, 지우룡, 지우성, 지우하, 지운성, 지윤해, 지응길, 지응립, 지응상, 지응원, 지의립, 지의함, 지이상, 지이함, 지정근, 지정희, 지준, 지준원, 지짐쇠, 지창만, 지취룡, 지취명, 지태형, 지필창, 지학규, 지호일, 지후발, 지후참 |
조선 | 생원시 | 지경청, 지경호, 지규척, 지달수, 지달해, 지덕해, 지봉유, 지봉익, 지빈, 지석구, 지선림, 지성해, 지운제, 지운회, 지응명, 지응주, 지응해, 지중구, 지필만, 지필부 |
조선 | 진사시 | 지병연, 지봉수, 지봉휘, 지석순, 지약수, 지여량, 지여상, 지연, 지운호, 지재룡, 지정감, 지천석, 지한기, 지한보, 지호영 |
6. 왕실과의 인척 관계
7. 항렬자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
口재(載) |
8. 집성촌
지역 |
---|
충청북도 청주시 남일면 은행리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창산리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금성리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초평리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군업리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동진면 본덕리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외초리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 |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청계리 |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유서리 |
평안북도 정주시 |
전라남도 함평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판운리(장충동) |
9. 문화재
10. 인구
연도 | 인구 |
---|---|
2000년 | 118,211명 |
2015년 | 148,144명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충주지씨 忠州池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9-07-00 #Dead link 날짜 정보만 추출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00-00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4]
웹사이트
어씨(魚氏) 본관(本貫) 충주(忠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11-26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뉴스
충주지씨(忠州池氏) 시조 지경 … 고려때 중국서 건너와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13-01-31
[7]
서적
《고려사절요》 권14 신종(神宗) 5년 12월
http://db.history.go[...]
[8]
서적
『고려사』 권125, 열전38
https://terms.naver.[...]
[9]
백과사전
지용수
[10]
서적
『고려사』 권114, 열전27
https://terms.naver.[...]
[11]
문서
4세 지응상(池應尙)의 손자
[12]
서적
《고려사》 세가 권제31 충렬왕 21년 3월
http://db.history.go[...]
[13]
백과사전
지성해 - 충주향토문화대백과
http://chungju.grand[...]
[14]
서적
《국조인물고》 권28 명류(名流)
https://terms.naver.[...]
[15]
서적
《국조인물고》 권63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